Soul: Definitions
• OD(Oxford Dictionary) 영혼의 정의:
- 인간이나 동물의 영적 또는 immaterial(비물질적) 부분, 불멸의 것으로 간주된다.
(여기서 영혼은 별개의 물질이다) - 예술 작품 또는 예술 공연에서 감정적 또는 지적 에너지나 강도.
- 특정한 자질의 본질 또는 구현.
(특정 신체에 대한 설명)
• 2 & 3에서 영혼은 사물, 사건 또는 사람의 quality(자질)이다.
• 정의의 문제: 영혼, 마음, 그리고 신체
- 영혼은 마음일 수도 있고 마음과 다를 수도 있다.
- 영혼은 물질적일 수도 있고 비물질적일 수도 있다(비물리적).
- 영혼은 진짜 실체일 수도 있고 단지 명목상의 (시적)일 수도 있다.
• 우리의 목적을 위해, 영혼은 "spiritual or immaterial part of a human beging" that survives death(죽음에서 살아남는 "인간의 영적 또는 비물질적 부분"이다).
• Substance dualism(물질 이원론) : 세상에는 두 종류의 물질이 존재한다.
=> mental(정신적), 비확장적, 비물질적으로 생각되는 물질 / physical(물리적), 확장적, 물질적 물질
• Mind-body problem(심신 문제) : 영혼(비물질적, 비공간적)이 신체(물질적, 공간적)와 어떻게 interact(상호작용)하는가?
Soul: Kagan’s Arguments
• Kagan : physicalism(물리주의), 우리는 단지 육체일 뿐이다. 육체적이지 않은 영혼은 필요 없다.
• 우리 모두는 육체가 진짜라고 믿는다. 그래서 만약 여러분이 영혼을 믿는다면, 여러분은 육체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. 하지만 왜 육체가 충분하지 않은가?
• Mind(마음)은 단순히 P-functioning을 하는 신체의 특징일 뿐이다.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은가?
[예: 웃음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.]
• Simmias의 플라톤 Phaedo의 "Lyre Argument"은 다음과 같다.
Couldnt soul be like the harmony in the lyre? (영혼은 리라 속의 조화처럼 될 수 없을까?)
"보이지 않는, 실체가 없는, 완벽하고 신성한 것"
… 하지만 끈이 끊어지면, 조화는 사라진다.
Q: 왜 우리는 영혼을 믿어야 하는가?
• 1) 우리는 그것이 사실이라고 믿고 싶다:
우리는 죽음을 두려워하고(죽고 싶지 않음), 살아남기 위한 사랑을 원하며, 정의를 원한다.
[문제: 무언가가 진실되기를 바란다고 그것이 현실이 되는 것은 아니다]
• 2) 그것은 물리적 설명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을 설명할 수 있다 :
최고의 설명에 대한 추론.
•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(최고의 설명에 대한 추론) : 우리는 이용 가능한 증거를 가장 잘 설명하는 믿음을 선택한다. [abductive reasoning]
: 풀이 젖었다 -> 비가 왔나? 스프링클러?
: 메리가 발작을 일으켰다 -> 악마인가? 아픈건가?
"영혼"이 물리학적 관점보다 상황을 더 잘 설명하도록 feature F를 가정해보자. 이 F는 무엇일까?
• F : animation of the body - 신체의 동작.
=> 죽은 것은 움직이지 않는다.
•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처럼 : 형태 + 물질 = 존재(hylomorphism = 동형사상)
- Nutritive Soul (식물)
- Sensitive Soul (동물)
- Rational Soul (인간)
• Problem : 로봇과 같은 것들은 움직일 수 있다.
• F : think, purposeful actions - 생각하고, 목적 있는 행동들.
=> 우리의 몸은 무작위로 움직이지 않는다. 신체는 목적을 가지고 행동한다. 무언가가 생각하고, 끈을 잡아당기고, 몸에게 지시한다. 그것이 Soul(영혼)이다.
• Problem :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"목적"을 주장한다. (ex.AlphaGo & Alphago Zero)
BBC 뉴스: 알파고는 인간이 하는 수천 개의 게임으로부터 배우는 것으로 시작했다. 하지만 새로운 알파고 제로는 규칙 외에 데이터가 없는 빈 바둑판에서 시작해 스스로 경기를 했다. 72시간 만에 원래의 프로그램을 100대 0으로 완파할 수 있었다. 알파고가 전문가와 겨룰 수 있는 지경에 도달하는 데 몇 달이 걸린 반면, 알파고 제로는 단 3일 만에 그곳에 도달했습니다."
• F: feels, understands. has beliefs, desires - 느끼고, 이해한다. 믿음과 욕망이 있다.
=> 컴퓨터는 "똑똑한" 만큼 사물을 feel(느끼거나) 무언가를 understand(이해하는) 삶을 경험할 수 없다. 오직 영혼만이 할 수 있다.
• Problem : 미래에 컴퓨터는 느끼고, 이해하고, 욕망을 가질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없을까?
=> Kagan : 그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단지 우리의 편견 아닐까?
• 2001 : A Space Odyssey. HAL2000: "데이브. 나는 두렵다. 데이브, 정신이 혼미해진다. 난 느낄 수 있어."
• Blade Runner 2049 : 만약 안드로이드들이 인간이 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면, 무엇이 다를까? "인간이란 무엇인가?
Soul: Return to Turing Test
• Back to the Turing Test : 앨런 튜링의 지능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: A.어떤 시험을 통과할 수 있다면 A.I는 우리와 같다.
• TEST : 테스터는 두 명의 "사람"에게 일련의 질문을 합니다. 만약 그들이 어느 것이 사람이고 어느 것이 로봇인지 구별할 수 없다면, A.I. 시험에 합격했다. 그렇다면 우리는 인공지능이 우리만큼 똑똑하다고 말해야 한다. => It must be CONSCIOUS.
• 만약 그렇다면, 그것은 마음과 영혼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가?
의식은 특정한 행동의 집합에 지나지 않는다. 정신(영혼)은 순수하게 육체적이다.
• 과학자들은 그러한 A.I를 믿는다.언젠가 현실이 될 것이지만, 일부 철학자들은 동의하지 않는다.
Soul: the Chinese Room Argument
• John Searle (1932년 ~ ): 철학자 : mind, language에 관한 철학 연구
• Chinese Room Argument(1980):
=> AI 과학자들 (+ 일부 물리학자들)은 인간의 두뇌가 컴퓨터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한다. 마음 = 코딩.
=> 하지만 Chinese Room에 있는 사람은 중국어를 "Know" 못한다.
• "Knowing" 또는 consciousness(의식)을 갖는 것은 입출력 과정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 : 마음 > 코딩.
• AI는 광속으로 수십억 개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지만 여전히 "mindless" 프로그램일 것이다. Searle의 Chinese Room은 strong A.I(강한 인공지능)을 부인한다. 즉 마음 = A.I를 부인.
=> AI는 마음의 시뮬레이션일 수 밖에 없다(weak A.I)
• 인간의 이해는 A.I 에게 불가능한 Qualia(조건)이다.
=> Qualia: 삶의 "주관적이고 의식적인 경험".마음에는 semantics-의미론(이해)이 있다. A.I는 syntax(구문)뿐이다.
• Problem: 이 "퀄리아"가 정확히 뭐죠? 이 기능이 F인가요?
'영혼'인가? Searle not dualist. 하지만 그는 또한 그것이 신체적인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. 그럼 그건 무엇인가? (hard problem)